프로필이미지
박원갑777
마포동관심동네팔로워0

《정치이야기는 부부 사이라도 조심하라》

2023.09.24 조회수 17올해 50대 후반으로 접어든 A씨. ​30년 결혼생활을 해오고 있지만 그 나이 대 부부에 비해 사이가 좋은 편이다. ​그는 그 비결을 하나 꺼냈다. ​부부끼리 정치 얘기를 잘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. ​"저희 부부는 정치성향이 완전 다릅니다. 그럼에도 30년 동안 잘 산 비결은 정치뉴스를 함께 안 보는 것입니다. " ​부부는 일심동체란 생각이 있어서일까. ​배우자가 나와 다른 정치적 성향을 갖고 있으면 정서적으로 힘들 수 있다. ​그런 가운데서도 A씨는 나름대로 지혜를 잘 발휘한 것 같다. ​그는 "그런데 요즘은 혼자서도 정치뉴스를 안 봅니다. 행복한 하루를 보내기 위해서..."라고 말했다. ​정치는 사전적 의미로 '국가의 권력을 획득하고 유지하며 행사하는 역할...'이다. ​그렇다. ​정치는 바로 권력을 잡는 데서 출발한다. ​국민 삶을 증진시키고 사회질서를 바로잡는 일은 그 다음에 가능한 일이다. ​권력을 잡기위해서는 내가 옳고 상대방이 틀리다는 점을 국민들에게 각인시켜야한다. ​이른바 구분짓기다. ​아니면 나를 지지해줄 이유가 없을 것이다. ​권력을 잡기 위한 현실정치는 기본적으로 논쟁적이고 이데올로기, 계급적인 성격을 띤다. ​균형은 좀처럼 찾기 어렵다. ​때로는 입에 담기도 어려운 거친 말이 오간다. ​이런 한쪽의 정치논리에 개인들이 휘말려드니 문제다. ​정치논리에 빠지면 기본적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객관적, 이성적 잣대를 잃어버리기 일쑤다. ​같은 사안을 놓고 정파싸움, 진영싸움으로 이어지고 자기만 옳다는 팬덤만 남는다. ​상대 진영이 아무리 좋은 말을 해도 곧이 곧대로 듣지 않고 음모론이라는 렌즈를 갖다댄다.​ ​"정치는 무엇을 가정하든, 언제나 체계적인 증오를 조직화하는데 달려 있다. " ​미국 역사가 헨리 브룩스 애덤스의 얘기다. ​그러하니 정치 문제는 가족, 부부끼리도 함부로 꺼내지 않는 게 예의다. ​정치적 성향이 다른 경우라면 더욱 그러하다. ​정치 이슈를 놓고서는 형제지간도 멱살을 잡는다. ​친구 사이도 마찬가지다. ​나와 다른 정치적 성향을 갖고 있는 사람은 멀리하고 싶어진다. ​집안에서 진영논리를 펴는 특정 방송을 크게 틀어놓는 것도 도리가 아니다. ​배우자가 듣기에 불편할 수 있기 때문이다. ​굳이 듣고 싶으면 출퇴근길에서 청취하거나 집에서는 이어폰을 끼고 들어라. ​집안에까지 정치를 끌어들이지 말라. ​집은 싸움터가 아니라 포용과 이해, 사랑이 싹트는 곳이니까. ​자 결론! ​정치 얘기만 조심해도 부부가 화목해질 수 있다.
자유주제
노원구 상계동
cheer좋아요4
cheer댓글2
프로필이미지
신e주신선물
음봉면관심동네
좋아요
cheer좋아요0
2023.09.24
프로필이미지
박원갑777
마포동관심동네
cheer좋아요0
2023.09.24
KB부동산 앱에서 부동산 이야기를 편리하게 확인해보세요!
kbland_qr
logo_google_play_storePlay Store
logo_google_play_storeApp Store