프로필이미지
박원갑777
마포동관심동네팔로워0

《나이들어 어디서 살까?》

2023.10.22 조회수 24은퇴이후 많은 사람들이 전원생활을 꿈꾼다. 하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다. 집 관리가 만만치 않고 몸도 여기저기 고장나기 시작한다. 우리가 생각하는 낭만적인 노후 생활은 대체로 60대다. 사랑하는 사람과 크루선을 타고 해외여행을 꿈꾸는 황금의 세월이다. 60대, 이보다 더 정확하게 말하면 전기고령자의 삶이다. 전기고령자는 65-74세까지의 연령집단이다. 후기고령자는 75세 이상의 연령집단이다. 아마도 전기고령자는 전원생활을 누리는 것도 좋을 것이다. 하지만 후기고령자가 되면 전원주택을 관리하기 어렵다. 전원주택을 팔고 실버주택이나 요양병원, 요양원으로 가야할 수 있다. 오히려 전원주택은 짐만 될 뿐이다. 나이들면 젊은이들이 북적이고 병원이 가까운 '병세권' 아파트가 최고다. 대도시는 아파트가 대부분이다. 아파트에선 관리할 게 없어 집을 비우고 어디든 다녀올 수 있다. 한 연구를 보니 후기고령자가 되면 10명중 6명(60.9%)은 배우자가 없다. 전기고령자 36.4%보다 거의 2배에 달한다. ​남편이 떠난 전원주택에 아내 홀로 지키고 있다고 생각해보라. ​외로움이야 그렇다고 치더라도 자칫 범죄의 표적이 될 수 있다. ​그래서 전기고령자시절에 맘껏 전원생활을 누리더라도 후기고령자가 되면 도심 아파트로 되돌아 와야한다. ​전원으로 떠나더라도 도심 아파트를 팔지말라는 것은 이 때문이다. ​도심아파트는 나중에 요양원이나 요양병원을 가더라도 월세를 받을 수 있다. ​주택연금에 가입할 수도 있다. 아파트는 노후에 또하나의 캐시플로 역할을 충실히 해낼 수 있다. #박원갑 #박원갑박사의 심리수업 #부동산은퇴
cntn
동네소식
노원구 상계동
cheer좋아요4
cheer댓글1
프로필이미지
신e주신선물
음봉면관심동네
좋은글 감사해요
cheer좋아요1
2023.10.22
KB부동산 앱에서 부동산 이야기를 편리하게 확인해보세요!
kbland_qr
logo_google_play_storePlay Store
logo_google_play_storeApp Store